‘TK 행정통합’ 무산에 대구시·경북도 ‘진흙탕 싸움’ 벌이나 …“피해는 시·도민” 피로감 호소

페이지 정보

작성자 행복이 댓글 0건 조회 208회 작성일 24-08-28 16:03

본문

2026년 출범 목표로 논의되던 대구·경북(TK) 행정통합 움직임이 사실상 동력을 잃은 가운데 두 지자체가 서로를 향해 날선 반응을 보이고 있다. 통합 무산의 책임을 서로에게 돌리는 모양새다.
대구시는 28일 오후 예정에 없던 기자회견을 열고 전날(27일) 홍준표 대구시장을 비난한 경북도의회를 도마 위에 올렸다.
이날 황순조 대구시 기획조정실장은 어제 경북도 도정질의에서 행정통합에 대한 강한 비판이 있었으며, 특히 도의회 의장은 대구광역시장에 대해 도를 넘는 인신공격성 발언을 한 바있다면서 그리고 오늘(28일)은 입장문을 통해 ‘합의를 전제로 행정통합을 이어나가자’고 발표했다고 운을 뗐다.
이어 이에 대해 대구시는 경북도의장이 막말을 사과하고, 의장직을 사퇴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힌다며 이런 조치가 있을 경우 통합논의를 재개할 여지가 있다고 덧붙였다.
앞서 지난 27일 열린 경북도의회 제349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에서 홍 시장에 대한 비판성 발언이 나왔다. 도의회에서는 통합을 서두르지 말고 지역민의 의견을 충분히 묻는 주민투표를 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또한 경북도의회에서는 28일 홍준표 시장의 갑작스러운 기자 간담회와 페이스북 정치 등 일방적인 행정통합 무산 발표로 시도민 갈등과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는 성토가 나왔다.
도의회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행정통합 무산에 대한 원인을 경북도의회와 경북도 집행부의 마찰 탓으로 돌리는 대구시(홍준표 시장)의 주장에 대한 입장문’을 발표했다.
경북도의회는 행정통합에 대해 도민과 시민의 찬반은 있을 수 있지만, 합의라는 전제가 중요한 행정통합이라는 큰 의제가 한명의 광역단체장의 독단으로 이루어지고 폐기하는 대구시의 이러한 행태에 대해 강력히 규탄한다면서 민주주의 기본인 ‘절차와 협치’라는 큰 틀에서 행정통합에 대한 절차를 진행하라고 밝혔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경북도의회에서 부정적 목소리가 나온 지난 27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계정을 통해 행정통합 논의 무산을 공식 선언했다.
홍 시장은 오늘 경북도의회가 대구시장 성토장이 된 것은 유감이라면서 최종 시한이 내일(28일)까지이지만 경북도의회 동의는 어려울 것 같다고 밝혔다.
홍 시장은 28일에는 행정통합 논의가 무산된 것과 관련 통합추진을 더 할 생각이 있다면 (이철우)경북지사께서 경북도의회부터 설득하라고 밝히기도 했다. 이철우 지사는 대구·경북 행정통합은 중단 없이 진행되어야 한다는 원론적인 입장을 밝힌 상태다.
대구참여연대는 28일 TK 행정통합 추진 무산과 관련해 성명을 내고 통합 문제는 찬반을 논의할 수 있는 문제지만 추진 여부나 내용, 절차, 완결 시점도 모두 시·도민의 의견 수렴도 없이 두 단체장 마음대로 결정 및 추진됐다면서 통합 무산은 예견된 일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시도민을 농락한 ‘홍준표식 맘대로 행정’을 규탄한다면서 홍 시장은 공식 사과하고 대구시의회는 갈등을 불러오고 행정력을 낭비한 것에 대한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권영진 전 대구시장 시절 행정통합 공론화위원장을 지낸 김태일 전 영남대 교수는 홍 시장은 취임 직후 행정통합 이슈에 부정적이었다가 갑자기 생각을 바꿔 추진했고 이후 (논의가) 급물살을 탔다면서 하지만 홍 시장은 (생각을 바꾼 것에 대한) 충분한 설명과 초기 부정적이었던 것에 대한 사과를 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김 전 교수는 이러한 점 때문에 통합 인스타 좋아요 늘리기 추진에 대한 진정성이 의심스러웠고, 정치적 욕심 때문이 아닌가 싶었던 게 사실이라면서 결국 통합 무산에 따른 최종 피해는 시·도민이 입게 됐다고 덧붙였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