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시험안내

진주용접학원 자격증 안내

진주용접학원에서 교육받고
취득할 수 있는 자격증을 소개합니다.

  • 용접기능사
  • 특수용접기능사
  • 용접산업기사
  • 용접기사
  • 용접기능장

개요

각종 기계나 금속구조물 및 압력용기 등을 제작하기 위하여 전기, 가스 등의 열원을 이용하거나 기계적 힘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다양한 용접장비 및 기기를 조작하여 금속과 비금속 재료를 필요한 형태로 융접, 압접, 납땜을 수행한다.

변천과정

`74.10.16.
대통령령 7283호
`83.12.20.
대통령령 11281호
`91.10.31
대통령령 13494호
`98.05.09
대통령령 15794호
`08.11.26.
고용노동부령
311호
현재
가스용접
기능사2급
가스용접
기능사2급
가스용접
기능사2급
가스용접
기능사
용접기능사 용접기능사
전기용접
기능사2급
전기용접
기능사2급
전기용접
기능사2급
전기용접기능사
용접기능사2급 택1 택1 택1 택1
가스용접
기능사2급
가스용접
기능사
용접기능사 용접기능사
전기용접 기능사2급 전기용접
기능사
특수용접 기능사2급 특수용접
기능사
특수용접
기능사
특수용접
기능사
특수용접 기능사2급 특수용접 기능사2급 특수용접
기능사
특수용접
기능사
특수용접
기능사

수행직무

용접부위를 손질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용접점이나 절단선을 표시하고 용접물의 재료, 두께, 형태 등을 파악하고 적합하게 용접장비를 조정

공작물을 위치시키고 적절한 전극, 용접봉, 토치팁 및 기타 필요한 공구를 사용하여 접합부나 이음매를 용접하거나 절단선을 따라 절단.

실시기관 홈페이지

http://www.q-net.or.kr

실시기관명

한국산업인력공단

진로 및 전망

용접의 활용범위가 광범위해지고, 기술개발을 통한 고용착 및 고속 용접기법이 개발되고 있어 현장적용능력을 갖춘 숙련기능인력에 대한 수요가 예상된다. 그렇지만 기능인력의 수요는 기술인력과는 달리 용접 자동화의 영향으로 자동차 생산공장 등 자동용접이 가능한 분야에서는 점차 감소할 전망이다. 또한 수작업으로 용접을 진행하던 조선업 등에서 전기용접이 CO2용접으로 대체되고 있고, 기계제조 분야 등에서는 제조공장이 해외로 이전함에 따라 용접인력 수요의 감소요인이 되고 있다.

개요

각종 기계나 금속구조물 및 압력용기 등을 제작하기 위하여 전기, 가스 등의 열원을 이용하거나 기계적 힘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다양한 용접장비 및 기기를 조작하여 금속과 비금속 재료를 필요한 형태로 융접, 압접, 납땜을 수행한다.

종목별 검정현황

종목명 연도 필기 실기
응시 합격 합격률(%) 응시 합격 합격률(%)
용접기능사 2012 18,649 4,179 22.4% 6,951 3,849 55.4%
용접기능사 2011 15,693 4,938 31.5% 7,551 4,246 56.2%
용접기능사 2010 13,288 4,989 37.5% 7,405 4,247 57.4%
소계 47,630 14,106 29.6% 21,907 12,342 56.3%

응시자격

전공, 학력 경력 상관없이 취득가능

개요

용접은 조선, 기계, 자동차, 전기, 전자 및 건설 등의 산업에서 제품이나 설비의 제조, 조립, 설치, 보수 등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에 용접기술을 향상 시키기 위한 제반 환경조성과 전문화된 기능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자격제도 제정.

변천과정

1983년
(대통령령 제11281호, 1983.12.20)
1991년
(대통령령 제13494호, 1991.10.31)
1998년
(대통령령 제15794호, 1998.5.9)
2008년
(노동부령 제311호, 2008.11.26)
용접기능사2급 전기용접기능사2급 중 택일 전기용접기능사 중 택일 용접기능사 중 택일
가스용접기능사2급 중 택일 가스용접기능사 중 택일
특수용접기능사 중 택일
특수용접기능사2급 중 택일 특수용접기능사 중 택일
특수용접기능사2급 특수용접기능사2급 특수용접기능사 특수용접기능사

수행직무

용접에 관한 설계도상의 작업절차에 따라 마찰압접기, 초음파용접기 등 특수용접장비를 이용하여 금속부품들을 용접하는 업무수행.

실시기관 홈페이지

http://www.q-net.or.kr

실시기관명

한국산업인력공단

진로 및 전망

조선, 기계, 자동차, 전기, 전자, 건설 등 산업 전반에 걸쳐 진출할 수 있다.

용접의 활용범위가 광범위해지고, 또한 기술개발을 통한 고용착 및 고속 용접기법이 개발되고 있어 현장 적용능력을 갖춘 숙련기능인력에 대한 수요가 예상된다. 그렇지 만 기술인력과는 달리 기능인력의 경우 용접 자동화의 영향으로 자동차 생산공장 등 자동용접이 가능한 분야에서는 고용이 점차 감소할 전망이다. 반면 조선이나 건설업 등 여전히 수작업이 필요한 분야는 해당산업의 성장에 영향을 받게 되는데, 향후 조 선수주량의 증가, 건설경기의 호전에 따른 이들 산업의 성장이 기대됨에 따라 고용 도 증가할 전망이다.

종목별 검정현황

종목명 연도 필기 실기
응시 합격 합격률(%) 응시 합격 합격률(%)
특수용접기능사 2012 13,936 5,087 36.5% 7,939 4,935 62.2%
특수용접기능사 2011 11,442 4,153 36.3% 6,901 4,269 61.9%
특수용접기능사 2010 9,579 3,588 37.5% 6,432 3,969 61.7%
특수용접기능사 2009 10,335 5,308 51.4% 7,448 4,867 65.3%
특수용접기능사 2008 5,199 2,158 41.5% 4,662 3,229 69.3%
특수용접기능사 2007 4,325 2,354 54.4% 4,171 2,956 70.9%
특수용접기능사 2006 3,403 1,430 42% 3,137 2,394 76.3%
특수용접기능사 2005 3,102 1,310 42.2% 2,993 2,341 78.2%
특수용접기능사 2004 2,613 996 38.1% 2,213 1,763 79.7%
특수용접기능사 2003 2,473 873 35.3% 2,062 1,687 81.8%
특수용접기능사 2002 2,111 783 37.1% 1,961 1,566 79.9%
특수용접기능사 2001 1,601 497 31% 1,900 1,667 87.7%
특수용접기능사 1984.2000 18,610 6,517 35% 16,082 13,535 84.2%
소계 88,729 35,054 39.5% 67,901 49,178 72.4%

응시자격

전공, 학력 경력 상관없이 취득가능

개요

용접기술은 조선, 기계, 자동차, 전기, 전자 및 건설 등의 산업에서 제품이나 설비의 제 조, 조립, 설치, 보수 등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고, 산업기술의 척도라 할만큼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이에 산업현장에 필요한 용접기술인력을 양성하고자 자격을 제정.

변천과정

'74.10.16.
대통령령 제7283호
'83.12.20.
대통령령 제11281호
'98.05.09.
대통령령 15794호
현재
용접기능사1급 용접기능사1급 용접산업기사 용접산업기사
  용접기사2급

수행직무

주로 제품과정에 필요한 용접을 하여 하나의 제품 또는 구조물을 완성하는 작업을 수행 하며, 용접에 관한 설계와 제도 완성, 이에 따르는 비용계산, 재료준비 등의 업무 수 행.

실시기관 홈페이지

http://www.q-net.or.kr

실시기관명

한국산업인력공단

진로 및 전망

조선, 기계, 자동차, 전기, 전자, 건설 등 산업 전반에 걸쳐 진출할 수 있다.

용접의 활용범위가 광범위해지고, 기술개발을 통한 고용착 및 고속 용접기법이 개발 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술인력의 수요증가가 예상되는 반면, 기능인력의 경우는 자동차생산공장 등 자동용접이 가능한 분야에서는 고용의 감소가 예상되며, 조선이 나 건설업 등 여전히 수작업이 필요한 분야는 해당산업의 성장에 영향을 받는 것이 다. 향후 이들 산업의 성장이 기대됨에 따라 이 분야에서의 고요은 점차 증가할 전 망이다. 한편 국내 대기업의 용접인력 중 자격보유율이 20% 수준인 점을 감안하면 기본적인 용접이론과 실무경험을 갖춘 해당 자격취득자의 향후 전망은 밝아 보인다.

종목별 검정현황

종목명 연도 필기 실기
응시 합격 합격률(%) 응시 합격 합격률(%)
용접산업기사 2012 4,764 2,150 45.1% 2,386 1,649 69.1%
용접산업기사 2011 3,954 2,000 50.6% 2,362 1,501 63.5%
용접산업기사 2010 3,673 2,057 56% 2,231 1,513 67.8%
용접산업기사 2009 3,449 1,745 50.6% 1,905 1,207 63.4%
용접산업기사 2008 2,505 1,315 52.5% 1,453 989 68.1%
용접산업기사 2007 1,814 1,082 59.6% 1,130 764 67.6%
용접산업기사 2006 1,720 1,017 59.1% 950 695 73.2%
용접산업기사 2005 809 124 15.3% 162 121 74.7%
용접산업기사 2004 737 154 20.9% 154 112 72.7%
용접산업기사 2003 742 146 19.7% 163 122 74.8%
용접산업기사 2002 834 137 16.4% 148 118 79.7%
용접산업기사 2001 873 154 17.6% 172 106 61.6%
용접산업기사 1978.2000 26,706 8,558 32% 9,580 6,873 71.7%
소계 52,580 20,639 39.3% 22,796 15,770 69.2%

응시자격

기능사 등급 이상 자격 취득 후 동일 및 유사직무분야에서 1년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
동일 및 유사직무분야에서 2년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
동일 및 유사직무분야의 다른 종목 산업기사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자
고용노동부령이 정하는 기능경기대회 입상자
관련학과 2년제 전문대학졸업예정자
관련학과 2년제 전문대학졸업자
관련학과 3년제 전문대학졸업예정자
관련학과 3년제 전문대학졸업자
관련학과 4년제 대학 전과정의 1/2이상 마친자
관련학과 5년제 대학 전과정의 1/2이상 마친자
관련학과 6년제 대학 전과정의 1/2이상 마친자
관련학과 전공심화과정의 학사학위 취득예정자
관련학과 전공심화과정의 학사학위 취득자
관련학과의 대학졸업예정자
관련학과의 대학졸업자
동일 및 유사직무분야의 고용노동부령이 정하는 교육훈련기관의 "산업기사 수준의 기술훈련과정"이수예정자
동일 및 유사직무분야의 고용노동부령이 정하는 교육훈련기관의 "산업기사 수준의 기술훈련과정"이수자
외국에서 동일한 종목에 해당하는 자격을 취득한 자
학점인정등에관한법률 제7조 규정에 의하여 관련학과 106학점 이상을 인정받은 자
학점인정등에관한법률 제7조 규정에 의하여 관련학과 41학점 이상을 인정받은 자
학점인정등에관한법률 제7조 규정에 의하여 관련학과 81학점 이상을 인정받은 자

개요

용접기술은 전 공업분야의 제품생산의 마무리단계에 도입되어 생산성 및 품질에 영향을 미치며, 나아가 국가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친다. 이에 따라 용접구조물의 안전성확 보 및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산업현장에 필요한 고급 용접기술인력을 양성할 필요가 있음.

변천과정

’83.12.20.
대통령령 제11281호
’98.05.09.
대통령령 15794호
현재
용접기사1급 용접기사 용접기사

수행직무

용접분야에 관한 공학이론을 바탕으로 제품과정에서 필요한 용접기술을 개발하고 설계하 며, 이에 따르는 비용을 계산하고 재료를 준비하는 등의 업무를 수행.

실시기관 홈페이지

http://www.q-net.or.kr

실시기관명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호 및 전망

조선, 기계, 자동차, 전기, 전자, 건설 등 산업 전반에 걸쳐 진출할 수 있다.「건설 기술관리법」에 의한 감리전문회사의 감리원,「건설산업기본법」에 의한 철도·궤 도공사업, 가스시설공사업의 기술인력,「고압가스안전관리법」에 의한 특정설비제 조시 설·용기제조시설의 관리책임자로 고용될 수 있다.

용접의 활용범위와 소재가 날로 광범위해지고 자동화, 로봇화되면서 용접의 고강도 화, 고탄성화, 고정밀화, 용접변형의 극소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극한 환경 아래 에서도 용접이 가능한 무인화가 추진되고 있다. 이에 따라 향후 신소재에 대한 용 접기술 및 차세대 신용접, 접합기법의 개발이 요구되기 때문에 용접분야 기술인력 에 대한 수요는 꾸준히 증가할 전망이다. 최근 5년간 자격응시인원에서도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종목별 검정현황

종목명 연도 필기 실기
응시 합격 합격률(%) 응시 합격 합격률(%)
용접기사 2012 725 75 10.3% 161 60 37.3%
용접기사 2011 746 163 21.8% 252 110 43.7%
용접기사 2010 716 134 18.7% 249 87 34.9%
용접기사 2009 697 124 17.8% 196 49 25%
용접기사 2008 531 117 22% 157 75 47.8%
용접기사 2007 430 92 21.4% 120 46 38.3%
용접기사 2006 427 92 21.5% 119 68 57.1%
용접기사 2005 396 73 18.4% 102 50 49%
용접기사 2004 324 87 26.9% 116 67 57.8%
용접기사 2003 296 61 20.6% 75 42 56%
용접기사 2002 285 45 15.8% 64 32 50%
용접기사 2001 288 42 14.6% 89 47 52.8%
용접기사 1984.2000 2,577 603 23.4% 721 380 52.7%
소계 8,438 1,708 20.2% 2,421 1,113 46%

응시자격

동일 및 유사직무분야에서 4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
동일 및 유사직무분야의 다른 종목 기사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자
4년제 대학 관련학과 1/2이상 마친 후 동일 및 유사직무분야에서 2년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
5년제 대학 관련학과 1/2이상 마친 후 동일 및 유사직무분야에서 2년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
6년제 대학 관련학과 1/2이상 마친 후 동일 및 유사직무분야에서 2년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
관련학과 2년제 전문대학 졸업 후 동일 및 유사직무분야에서 2년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
관련학과 3년제 전문대학 졸업 후 동일 및 유사직무분야에서 1년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
관련학과 대학졸업예정자
관련학과 대학졸업자
관련학과 전공심화과정의 학사학위 취득예정자
관련학과 전공심화과정의 학사학위 취득자
기능사 자격 취득 후 동일 및 유사직무분야에서 3년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
동일 및 유사직무분야의 고용노동부령이 정하는 교육훈련기관의 "기사 수준 기술훈련과정" 이수예정자
동일 및 유사직무분야의 고용노동부령이 정하는 교육훈련기관의 "기사 수준 기술훈련과정" 이수자
동일 및 유사직무분야의 고용노동부령이 정하는 교육훈련기관의 "산업기사 수준의 기술훈련과정" 이수자로서 이수후 동일 및 유사직무분야에서 2년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
산업기사 등급 이상 자격 취득 후 동일 및 유사직무분야에서 1년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
외국에서 동일한 종목에 해당하는 자격을 취득한 자
전공심화과정의 학사학위 취득 후 동일 및 유사직무분야에서 2년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
학점인정등에관한법률 제7조 규정에 의하여 관련학과 106학점 이상을 인정받은 자

개요

용접은 조선, 기계, 자동차, 전기, 전자 및 건설 등의 산업에서 제품이나 설비의 제조, 조립, 설치, 보수 등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용접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반 환경조성과 전문화된 기능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자격을 제정.

변천과정

`74.10.16. 대통령령 제 7238호 용접기능장으로 신설

수행직무

용접에 관한 최상급 숙련기능을 가지고 산업현장에서 작업관리, 소속 기능자의 지도 및 감독, 현장훈련, 경영층과 생산계층을 유기적으로 결합시켜 주는 현장의 중간관리 등 의 업무 수행.

실시기관 홈페이지

http://www.q-net.or.kr

실시기관명

한국산업인력공단

진로 및 전망

조선, 기계, 자동차, 전기, 전자, 건설 등 산업 전반에 걸쳐 진출하고 있으며, 이외에 도 행정분야, 학계, 연구소 등으로도 진출할 수 있다. 「건설산업기본법」에 의한 철도·궤도공사업, 가스시설공사업의 기술인력으로 고용될 수 있다.

용접의 활용범위와 소재가 날로 광범위해지고 자동화, 로봇화되면서 용접의 고강도 화, 고탄성화, 고정밀화, 용접변형의 극소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극한 환경아래에 서도 용접이 가능한 무인화가 추진되고 있다. 이에 따라 고도의 현장적용능력과 관 리능력을 갖춘 전문인력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종목별 검정현황

종목명 연도 필기 실기
응시 합격 합격률(%) 응시 합격 합격률(%)
용접기능장 2012 1,441 626 43.4% 928 387 41.7%
용접기능장 2011 1,512 643 42.5% 822 450 54.7%
용접기능장 2010 1,116 308 27.6% 523 280 53.5%
용접기능장 2009 1,003 446 44.5% 734 354 48.2%
용접기능장 2008 886 455 51.4% 729 358 49.1%
용접기능장 2007 773 503 65.1% 664 391 58.9%
용접기능장 2006 450 244 54.2% 437 240 54.9%
용접기능장 2005 2,346 1,795 76.5% 2,240 1,055 47.1%
용접기능장 2004 861 625 72.6% 814 450 55.3%
용접기능장 2003 410 288 70.2% 373 218 58.4%
용접기능장 2002 302 163 54% 258 110 42.6%
용접기능장 2001 274 210 76.6% 463 179 38.7%
용접기능장 1982.2000 1,968 1,244 63.2% 1,914 847 44.3%
소계 13,342 7,550 56.6% 10,899 5,319 48.8%